[경제적 자유] 나만의 파이프라인 만들기-2 . 미국 도시를 후원하다_시티코인 (4편)

뉴노멀 일기/Cryptocurrency

[경제적 자유] 나만의 파이프라인 만들기-2 . 미국 도시를 후원하다_시티코인 (4편)

라이너스_준 2022. 2. 24. 00:21
반응형

이전 포스팅

 

[경제적 자유] 나만의 파이프라인 만들기-2 . 미국 도시를 후원하다_시티코인 (3편)

2022.02.20 - [뉴노멀 일기] - [경제적 자유] 나만의 파이프라인 만들기-2 . 미국 도시를 후원하다_시티코인 (2편) [경제적 자유] 나만의 파이프라인 만들기-2 . 미국 도시를 후원하다_시티코인 (2편) 지

dreamonme.tistory.com

 

시티 코인 채굴하기

누구나 시티코인을 채굴할 있다. 하드웨어 요구사항이 없고, (흔히 알고 있는 그래픽카드를 통한 채굴이 아니다.) 프로토콜이 오픈 소스이기 때문에 누구나 상호작용하는 웹사이트를 구축할 있다. 시티코인 채굴과 Stacking minecitycoins.com에서 이루어 진다.

시티 코인채굴자들은 블록당 25만개의 시티코인에서 시작되는 보상(reward) 얻기위해 스택스 코인(Stx) 채굴자들과 경쟁하여 사용한다. 채굴자가 사용한 스택스의 30% 해당 시티코인의 도시의 시티코인 지갑으로 전송되며, 나머지 70% 시티코인을 Stacking 하는 사람들에게 분배된다.

해당 도시는 시티 월렛을 청구할 있으며, 스택스코인은(STX) 언제든지 USD 바꿀 있다. 또한 코인친화적인 시장이라면, 해당 스택스 코인을 Stacking하여 BTC 획득 할 수도 있다. 단순한 이야기지만, 시티코인은 매우 치밀한 로직을 은밀하게 숨겨 놓았다. 도시가 해당 시티월렛을 청구한다는 의미는 해당도시에서 인정한 시티 코인이 성립되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블록체인과 도시가 만나는 순간이 것이다.

 

How To Mine City Coin - 어떻게 시티 코인을 채굴하는가-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시티코인의 주요 채굴, 스택킹은 minecitycoins.com에서 이루어진다. 시티코인의 마이닝의 전반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스택스 월렛으로 로그인

1) Mine City Coins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https://minecitycoins.com)

 

1. minecitycoins.com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Connect Wallet을 연결해주자.

 

2) 연결한 Hirowallet을 선택한다 (Hiro Wallet은 구글 크롬에서만 작동한다. 웹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하도록 한다.)

2. Citycoin에 참여할 스택스 지갑을 선택한다

3) 연결 완료!

3. 로그인이 완료되었다!!! 가즈아!

 

  1. 채굴할 블록 (1~200) 선택
  2. 블록당 커밋할 스택스 코인의 수량
  3. 트랜잭션 제출
  4. 스택스 월렛으로 트랜잭션 확인

주의) 누구도 당신에게 시크릿키(지갑 니모닉 키)를 요구하지 않으며, 어떤 사이트도 해당 니모닉을 입력하라고 하지 않는다. 혹시라도 여러분에게 니모닉 키를 요구한다면, 조용히 해당 사이트를 종료하길 바란다. 니모닉 키가 누군가에게 전달된다면, 당신의 스택스는 공중분해될 것이다.

 

 

Mining Strategy -채굴 전략-

이 Part는 사실, 개인 채굴자에게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미리 말씀드리면 다음 포스팅에서 소개드릴 예정이지만, 시티 코인의 경우 사용자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그룹 다오(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가 있기 때문이다. 해당 다오는 한국에 있으며, 시티코인 재단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한 다오이기 때문에 안전성에서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DAO란 기존의 중앙 집중화된 조직이나 단체와 달리, 탈중앙 분산화된 자율적인 조직을 말한다. 탈중앙화 자율조직이라고 한다.

 

채굴 입찰은 블록당 번만 제출할 있다. 트랜잭션이 컨펌되면 신청은 확정된다. 이미 마이닝 중인 블록에서 채굴 트랜잭션을 제출하면 실패한다.

블록당 사용할 수량을 입력하고 총 채굴에 사용될 수량을 선불로 제출하여 하나의 트랜잭션에 여러 블록을 마이닝할 수도 있다. 해당 트랜잭션이 확인되면 다음 블록에 대한 입찰이 확정된다.

컨트랙트상 200블록까지 채굴이 가능하지만, 100블록 이상 채굴은 거래 비용 때문에 높은 수수료가 필요할 있다.

커밋된 STX 수량 (C) 기타 채굴자의 STX 수량(T) 계산으로 블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획득할 확률은 다음과 같다.

P(N개의 블록으로 최소 한블록을 획득할 확률) = 1 - (T / (T + C)) ^ N

1블록에 커밋량이 500 STX라고 가정하면, 200 STX로 채굴 하려고 할때 1블록을 이기기위한 확률은 다음 페이지의 표와 같다.

 

1 스택스를 이용하여 200블록을 처리할때와 200 스택스로 1블록을 처리할때, 채굴에서 승리할 확률 차이는 대략 5%차이가 나게된다. 이렇게 개인이 마이닝을 진행 할때는 확률싸움부터 시작해야 하는 것이다.

 

오늘은 채굴 전략까지 알아보았다. 다음 시간에는 채굴 보상을 수령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왜 이번 채굴 전략은 참고만 하고, 알아두면

좋은 커뮤니티가 있는지 설명하도록 하겠다.

반응형